과학문화융합포럼

과학문화융합포럼은 과학기술과 인문 사회 문화 예술 등
다양한 분야들의 회원들이 모여 경험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융합과 접목을 통해
새로운 차원의 과학기술문화 창조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

과문포럼TV

과문포럼TV

인공지능의 창의성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

김경원

기자

2023-12-03

제58회 과학문화융합포럼- AI와 창의성2023년 11월 28일, 한국과학기술회관 ST센터 중회의실7

과문포럼TV

생성형 AI의 사회적 영향 및 주요 이슈

김경원

기자

2023-11-21

제48회 융합세미나 생성형 AI의 사회적 영향 및 주요 이슈강연 :최문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대학원장 2023년 11월 17일 12시

과문포럼TV

제58회 과학문화융합포럼 <AI와 창의성>

김경원

기자

2023-11-20

인공지능(AI)과 과학문화융합 –AI와 창의성–』‘23. 11. 28(화), 15:30한국과학기술회관 2관 지하1층 중회의실 7

공지사항

회원동정

회원동정

한지의 원형을 찾아서 - 1. 전통한지의 정의가 필요한 이유

허두영

기자

2023-11-05

한국 역사에서‘한지’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52년에 내무부 통계국이 발간한 대한민국통계연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. 한지라는 용어는 국가의 개념이 강조되는 근대 이후 생긴 말로 그 이전에는 전통적으로 종이, 조히 등으로 불렸으며 재료, 용도, 색채, 산지, 크기 및 두께, 종이의 질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이름으로 존재했다. 한지 용어에 대한 정의

회원동정

‘미술진흥법’, 미술계 새로운 운동장 만드는 일과 같아”

허두영

기자

2023-11-02

미술계 최초의 저작권연합회인 ‘한국시각예술저작권연합회’가 발족했다. 초대 회장으로는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이 선출됐다. 연합회의 출범은 이후 ‘미술진흥법’ 제정에 큰 동력이 됐다. 그리고 올해 6월 ‘미술진흥법’이 국회를 통과했다. ‘최초’라는 수식어가 연이어 붙는 행보였다.2002년 개관한 사비나미술관의 슬로건은 “새롭게 하라, 놀라게 하라, 그리고 아

더보기+

포럼소개 바로가기 ➡뉴스레터 바로가기 ➡